
저희 집에 다른 해와는 달리 한국에서 보내온 달력 단 하나가 외롭게 벽 아닌 테이블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올 해는 달력이 귀중한가 봅니다. 한인회에서도 배보다 배꼽이 더 큰 문제로(한국에서 우송, 재정, 디자인 등의 문제) 주문 제작하다가 결국 코로나를 핑계 삼아 포기했습니다.
요즈음 누가 달력을 보나? 핸드폰에 다 있는데... 하면서도 왠지 섭섭했습니다. 늘 달력을 걸어 두던 벽이 왜 그러세요? 물어도 외면하고 지냈습니다.
그러던 차에 «아테네 한인연합교회»에서 달력을 제작하여 어제(1월16일) 한인회에 100부를 기증하여 주셨습니다. 이에 «아테네 한인 연합교회»에 지면을 통하여 감사 드리며 기쁜 마음으로 2021년도 달력을 인편과 ACS우송을 통해 나누고자 합니다.
시간이 지나도 혹 받지 못하신 분들은 홈페이지www.grhanin.com의 문의에 메시지를 남겨 주시거나 이메일 greecehanin@gmail.com, 전화 694 425 6640으로 주저 말고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00년대 초에 외국인 선교사의 송년미사에서 우리말로 한 말씀 중에,
"이제 저년이 가고 이년이 옵니다. 오는 년을 맞이함에 있어 새 년과 함께 보낼 몸과 마음에 준비가 필요하듯 간 년을 과감하게 정리하여야 할 마음가짐도 중요합니다. 지난 년을 돌이켜 보면 여러 가지 꿈과 기대에 미친년도 있고, 어떤 년은 실망스럽고, 어떤 년은 참 재미 있었습니다. 새 년은 어떤 년일까? 하는 호기심과 기대도 있겠지요.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이년 저년 할 것 없이 모두가 하느님이 주신 년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니 여러분 어떤 년을 맞아도 잘 살아야 합니다."
또 다른 스토리 하나,
"이년이 가려고 짐을 싸고 있다. 저년이 온다고 이년이 짐을 싸고 있다. 가는 년을 난 굳이 잡으려 하지 않는다. 가장 힘들게 했던 이년을 빨리 보내고 싶어 짐 싸는 것을 도와주려 했지만 이년이 거절을 한다. 나쁜 년 갈려면 얼른 가지. 예전에 그년도 그렇게 짐을 싸고 가더니 이년도 역시 짐을 싸서 갈 준비를 한다. 돌이켜 보면 어떤 년은 나를 절망에 빠지게 하기도 하고, 어떤 년은 내게 돈다발을 가져다 주기도 했다. 많은 년들이 스쳐 지나갔지만 어느 한 년 내게 붙어있지 않으려 한다. 모두가 다 떠나갔다. 그 년들도.... 이년도 역시 나를 떠나려 한다. 새 년이 짐을 싸서 온다 하고, 이 년이 간다고 한다 이 년이 가고 새 년이 오면 더 멋진 년으로 둔갑시켜 줄 거다 그래 이 년을 보내고, 새 년을 맞이해 멋지게 살아 보자! 이 年아! 그래도 수고했다. 새 年과 멋지게 살아 보마! 잘 가라 이 年아! 어서 와라 새 年아!"
재 그리스 한인회원 여러분!
이제 달력도 있는데 제 아무리 코로나 시대여도 잘 살아 봅시다, 멋지게 살아 봅시다. 늘 강건하시고 행복한 나날들 되시길 기도합니다.
참고로
그레고리력(영어: Gregorian Calendar)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양력(陽曆)으로, 1582년에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이전의 율리우스력을 개정하여 이 역법을 시행했기 때문에 그레고리력이라고 부른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46년에 제정한 율리우스력은 4년마다 2월 29일을 추가하는 윤년을 두었는데, 율리우스력의 1년 길이는 365.25일이므로 천문학의 회귀년 365.2422일보다 0.0078일(11분 14초)이 길어서 128년마다 1일의 편차가 났다.
그레고리력은 율리우스력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역법으로, 1582년 10월 4일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율리우스력의 400년에서 3일(세 번의 윤년)을 없애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했다. 그레고리력의 1년 길이는 365.2425일이므로, 천문학의 회귀년보다 0.0003일(26초)이 길고 약 3,300년마다 1일의 편차가 난다.
대한민국 지역에서는 1895년 10월 26일(음력 9월 9일)에 조선 정부(을미개혁, 김홍집 내각)가 같은 해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변경하며 음력 11월 17일을 1896년 1월 1일로 하였다. 태양력 채택을 기념하며 연호를 건양(建陽)으로 변경하였다. 현재까지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태양력 또는 양력은 그레고리력이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